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보건소 임산부 지원정책 온라인 서비스 및 고위험 임산부 지원 사업

라이프

by MT-TOP 2025. 4. 4. 00:30

본문

 

새로운 생명의 기적을 품게 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임신은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만남을 준비하는 아름다운 시간입니다.
매일의 설렘과 변화 속에서, 당신의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빛나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이제부터 시작될 특별한 여정을 위해, 꼭 필요한 정보와 지원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따뜻한 축복 속에서, 한 걸음 한 걸음 차분히 준비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1. 임산부·영유아 보건소 지원사업 요약 정리표

  사업명 신청대상 주요지원내용 비고
엽산제·철분제 신청 안내 임산부 본인 (임신부 등록 시) 엽산제(임신 초기), 철분제(임신 16주~) 무상 지원 택배 신청 시 비용 발생 가능(착불)
표준모자보건수첩 신청 안내 임산부 본인 및 0~36개월 영유아 부모 표준 수첩 발급 및 임산부·영유아 건강기록 제공 아이맘 앱, 정부24 등에서도 신청 가능
우울증 자가진단 검사 안내 임산부 및 산후 6개월 이내 산모 10문항 자가진단, 고위험군은 정신건강센터 전문관리 연계 모자보건법 제10조의5 근거
생애초기 건강관리 신청 안내 임산부 본인 및 만2세 영유아 부모 가정방문 건강관리(상담, 발달교육, 심리지원 등) 고위험군은 최대 24개월까지 방문관리

➤➤ 상세 포인트 요약

1. 엽산제/철분제

  • 엽산제: 임신 초기부터 신청 가능
  • 철분제: 임신 16주 이상부터 신청 가능
  • 보건소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택배 수령 시 일부 본인 부담 발생 가능(보건소에 따라 공급 방식이 달라 문의 요망)
구분 택배 수령 가능여부 비고
의약품 형태 엽산제/철분제 ❌ 안 됨 보건소 방문 필수
건강기능식품 형태 엽산제/철분제 ✅ 가능 착불 배송, 지자체에 따라 제공 여부 다름
※ 일부 지자체에서는 예산, 상황에 따라 의약품이 아닌 ‘건강기능식품’ 형태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2. 표준모자보건수첩

  • 임산부 또는 0~36개월 영유아 부모 대상
  • 건강기록 유지에 사용, 진료·검사 등 연계 가능
  • 보건소 또는 정부24, 아이맘 앱 등에서 신청 가능

3. 우울증 자가진단

  • 산전·산후 우울증 예방을 위한 간이 검사
  • 고위험군일 경우 정신건강센터 연계로 전문가 관리 제공
  • 검사항목: 총 10문항 자가체크, 점수 합산 평가

4. 생애초기 건강관리

  • 출산 8주 이내 신청 필요
  • 기본방문: 1회, 지속방문: 최대 24개월
  • 고위험군 (정신건강 문제, 미혼, 장애, 다문화 등)은 더 긴 기간 맞춤형 지원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사업은 고위험 임신으로 인해 입원 치료를 받은 임산부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하고 건강한 출산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지원 대상: 19가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임산부가 해당됩니다. 해당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기진통 (O60)
  • 분만 관련 출혈 (O67, O72)
  • 중증 임신중독증 (O11, O14, O15)
  • 양막의 조기파열 (O42)
  • 태반조기박리 (O45)
  • 전치태반 (O44, O69.4)
  • 절박유산 (O20.0)
  • 양수과다증 (O40)
  • 양수과소증 (O41.0)
  • 분만 전 출혈 (O46)
  • 자궁경부무력증 (O34.3)
  • 고혈압 (O10, O13, O16)
  • 다태임신 (O30, O31)
  • 당뇨병 (O24)
  •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O21.1)
  • 신질환 (N00~N23)
  • 심부전 (I00~I52)
  • 자궁 내 성장 제한 (O36.5)
  •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O23.5, O34.0, O34.1, O34.4, O34.8, O41.1)
  • 분만 결과 자궁 내 태아 사망 등으로 사산한 경우도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 질병코드 (ICD-10 기준)

 

고위험 임산부 질환 중 '고혈압' (ICD-10 코드 기준)

고위험 임신 질환에 해당하는 고혈압은 임신 전부터 있거나 임신 중 발생한 고혈압을 말하며, 아래 세 가지로 구분

  1. O10 – 기존 고혈압과 관련된 임신
    → 임신 전부터 고혈압이 있던 경우
    → 만성 고혈압이 있는 여성이 임신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2. O13 – 임신 유도성 고혈압 (단백뇨 없음)
    → 임신 중 새롭게 발생한 고혈압이지만 단백뇨는 없는 상태
    → 출산 이후에 자연스럽게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3. O16 – 명시되지 않은 임신 관련 고혈압
    → 진단이 애매하거나 정확한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은 고혈압
    → 병원에서 이 코드로 진단받으면 역시 지원 대상입니다.

  고혈압 지원 기준 요약

  • 이 고혈압 진단 중 하나 이상을 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만 의료비 지원 대상이 됩니다.
  • 외래 치료만으로는 해당되지 않고, 반드시 입원이 필요합니다.
  • 이 입원은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관리 또는 분만과 관련된 입원이면 인정됩니다.
※  외래 치료는 아무리 비용이 많이 나왔더라도 이 제도에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핵심 조건은 " 입원 " , 입원은 반드시 실제로 발생해야 합니다.

 

1) 지원 내용: 입원 치료와 관련된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의 90%를 지원하며, 1인당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단, 병실 입원료와 환자 특식 등은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해당 비용의 10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 신청 기간: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3) 신청 방법: 임산부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보건소를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구비 서류

  • 지원 신청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포함)
  • 진단서 (질병명 및 질병코드 포함)
  • 입·퇴원 확인서,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
  • 주민등록등본
  • 지원금 입금계좌 통장 사본 (지원 대상자 명의)
  • 신청인 신분증

 

📌  온라인보건소 임산부 등록 하러 가기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