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어트 본보이는 전 세계 30개 브랜드, 8,000여 개 호텔에서 통합 사용이 가능한 글로벌 호텔 멤버십 프로그램입니다. 등급이 올라갈수록 투숙 시 실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 점점 강화됩니다.
혜택 항목 | 실버 엘리트(연 10박) | 골드 엘리트(연 25박) | 플래티넘 엘리트(연 50박) | 티타늄 엘리트(연 75박) | 앰버서더 엘리트(연 100박 + $23,000 사용) |
보너스 포인트 적립 | +10% | +25% | +50% | +75% | +75% |
레이트 체크아웃 | O (가능 시) | O (2PM까지) | O (4PM 보장) | O (4PM 보장) | O (4PM 보장) |
객실 업그레이드 | X | O (가능 시) | O (스위트 포함) | O (우선 적용) | O (우선 적용) |
라운지 이용 | X | X | O | O | O |
조식 제공 | X | X | O | O | O |
웰컴 기프트 | X | O (포인트) | O (포인트/조식/선물 중 선택) | O | O |
Your24™ 체크인/아웃 | X | X | X | O | O |
48시간 객실 보장 | X | X | X | O | O |
전용 고객 서비스 | X | X | O | O | O (전담 앰버서더) |
애뉴얼 초이스 베네핏 | X | X | O (50박) | O (50+75박) | O (50+75박) |
메리어트 본보이는 전 세계 30개 브랜드, 8,000여 개 호텔에서 통합 사용이 가능한 글로벌 호텔 멤버십 프로그램입니다. 등급이 올라갈수록 투숙 시 실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 점점 강화됩니다.
➤➤ 플래티넘 이상은 50~75%의 보너스 적립률로 매우 빠르게 포인트를 쌓을 수 있습니다.
※ 일부 브랜드(예: 코트야드, 모XY 등)는 조식 제공 제외
➤➤ 늦은 항공편이 있을 경우 매우 유용한 혜택입니다.
※ 호텔 브랜드마다 선택 옵션이 다를 수 있습니다.
숙박 수 | 등급과 관계 | 제공 횟수 |
50박 달성 시 | 플래티넘 등급 이상 | 1회 선택 가능 |
75박 달성 시 | 티타늄 또는 앰버서더 등급 | 1회 추가 선택 가능 |
→ 50박 달성 시 1회,
→ 75박 달성 시 1회 더,
총 2회의 애뉴얼 초이스 베네핏 선택 기회가 주어진다는 의미입니다.
➤➤ 일반적으로 엘리트 업그레이드는 당일에만 제공되지만, 스위트 나이트 어워드 쿠폰은 사전 확정 업그레이드 요청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항목 | 특징 요약 |
등급 체계 | 실버(10박) ~ 앰버서더(100박+소비액 기준)까지 5단계 |
실질적 혜택 시작 | **플래티넘(50박)**부터 라운지·조식·업그레이드 제공 |
포인트 적립 | 숙박뿐 아니라 식사, 주차, 스파 등에서도 적립 |
포인트 사용 | 무료 숙박, 객실 업그레이드, 항공 마일 전환 등 활용 폭 넓음 |
유효 기간 | 포인트는 24개월간 활동 없을 경우 소멸 (단, 활동 시 갱신) |
호텔 브랜드 | 럭셔리부터 비즈니스까지 약 30개 브랜드 (예: 리츠칼튼, 웨스틴, 메리어트, 코트야드 등) |
카드 제휴 | 아멕스·국내 신용카드 제휴 통해 등급 자동 승급 가능 (예: 골드 등급 제공) |
등급 | 연간 기준 (1~12월 내) |
실버 | 10박 |
골드 | 25박 |
플래티넘 | 50박 |
티타늄 | 75박 |
앰버서더 | 100박 + $23,000 이상 사용 |
➤➤ 가성비 좋은 날짜에 연박으로 몰아서 묵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프로모션에 참여 후 예약 시 목표 달성 기간을 확 줄일 수 있습니다.
혜택 항목 | 더 베스트 신한카드 (연회비 267,000원) |
더 클래식 신한카드 (연회비 147,000원) |
무료 숙박권 1박 제공 | O (35,000포인트 이하 호텔) | X |
연간 보너스 포인트 제공 | X | O (15,000P / 연 100만 원 사용 시) |
골드 엘리트 등급 자동 제공 | O (연회비 납부 시) | O (연 2,000만 원 이상 사용 시) |
실버 엘리트 등급 자동 제공 | O | O |
10일 숙박 크레딧 제공 | O | O |
프리미엄 조식 할인 (호텔 조식 할인) | O | X |
무료 음료 서비스 (공항 라운지 등) | X | O |
메리어트 본보이 포인트 적립률 | 5P (국내외 메리어트 호텔) | 4P (국내외 메리어트 호텔) |
국내 일반 가맹점 적립률 | 1P | 0.5P |
해외/교통/카페 적립률 | 3P | 1P |
월 추가 적립 (생활가맹점) | 5,000P (100만원 이상 사용 시) | 최대 5,000P (150만원 이상 사용 시) |
상황추천 | 카드 |
연 1회 이상 메리어트 호텔 숙박하시는 분 | ★ 더 베스트 (무료 숙박권 가치 ↑) |
호텔 숙박은 가끔, 연회비 부담 적은 카드 원하실 경우 | ☆ 더 클래식 (기본 포인트 + 부가 혜택 알차게 구성됨) |
메리어트 골드 혜택이 꼭 필요한 경우 (2PM 체크아웃, 업그레이드 등) | 더 베스트 = 조건 없이 더 클래식 = 연간 실적 필요 |
➤➤ 긴 휴가 일정일수록 포인트 절약에 큰 효과를 줍니다.
지역 | 호텔명 | 브랜드 | 비고 |
서울 | 코트야드 메리어트 남대문 | Courtyard | 시청역 도보 5분, 가성비 숙소 |
서울 |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 Courtyard | 영등포 타임스퀘어 내 위치 |
서울 | 페어필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 Fairfield | 합정, 홍대, 영등포 등 분산 |
부산 | 페어필드 바이 메리어트 부산 해운대 | Fairfield | 해운대 바닷가 접근성 우수 |
제주 | JW 메리어트 제주 (❗포인트 차감 유동적) | JW Marriott | 비수기 주중 35,000P 근접 |
수원 | 코트야드 메리어트 수원 | Courtyard | 갤러리아 백화점 연계 |
➤➤ 서울 시내에서는 코트야드 시청·타임스퀘어, 지방에서는 페어필드 해운대가 가장 많이 추천됩니다.
도시 | 호텔명 | 브랜드 |
오사카 | 모XY 오사카 혼마치 | Moxy |
도쿄 | 페어필드 도쿄 긴시초 | Fairfield |
오키나와 | 코트야드 나하 | Courtyard |
➤➤ 일본은 도심 내에도 30,000~35,000P대 호텔이 많아 매우 활용도 높습니다.
국가 | 도시 | 호텔명 | 브랜드 |
태국 | 방콕 | 포포인츠 쉐라톤 방콕 수쿰윗 | Four Points |
베트남 | 호치민 | 코트야드 메리어트 사이공 | Courtyard |
인도네시아 | 발리 | 페어필드 쿠타 / 르메르디앙 짐바란 | Fairfield / Le Meridien |
➤➤ 동남아는 리조트형 고급 호텔도 35,000P 내외로 가능한 경우가 많아 가성비 최고입니다.
지역 | 도시 | 호텔명 | 비고 |
독일 | 베를린 | 모XY 베를린 | 중심부에 위치, 캐주얼한 스타일 |
프랑스 | 리옹 | 코트야드 리옹 | 유럽여행 시 좋은 선택지 |
미국 | 뉴욕 | 페어필드 브루클린 | 성수기에는 불가, 비수기 노려야 가능 |
➤➤ 유럽과 미국에서는 도심 외곽, 또는 비수기 기간을 잘 노리시면 활용 가능합니다.
무료 숙박권은 35,000포인트 한도지만,
2022년부터는 포인트를 추가해서 초과분도 커버 가능합니다.
※ 추가 포인트는 계정에 미리 보유하고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 특별 적립(메리어트 호텔, 해외/항공/택시/카페) 혜택은 전월 국내 이용 실적 30만 원 이상 시 제공됩니다.
※ 특별 적립(메리어트 호텔, 해외/교통/카페) 혜택은 전월 국내 이용 실적 30만 원 이상 시 제공됩니다.
메리어트 본보이™ 더 베스트 신한카드는 연회비 주기 내 일정 금액 이상 사용 시 보너스 포인트를 제공합니다
➤➤ 50박을 목표로 플래티넘을 노리는 것이 가장 체감 높은 구간입니다.
➤➤ 제휴 카드를 활용해 골드를 시작으로 익숙해지신 후, 실제 숙박+프로모션으로 플래티넘 달성을 노리시면 효율적입니다.
➤➤ 포인트는 오프피크 숙박/5박 연속 사용으로 최대한 아끼는 방식이 좋습니다.
➤➤ 비수 해외 호텔을 이용하시면 호캉스 좋습니다.
2025년 세종시 미혼남녀 만남 행사 (0) | 2025.04.07 |
---|---|
E세상 편한 오토마트 공매 내차팔기 (0) | 2025.04.07 |
서울 디딤돌소득 시범사업 : 복지 사각지대를 메우는 새로운 시작 (0) | 2025.04.05 |
더 촘촘해지고 강력해진 서울형 보육서비스 상세 설명 (0) | 2025.04.05 |
2025 대한민국 라면박람회: 개요 및 주요 내용 정리 (0) | 2025.04.05 |